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10. 10世 〉17. <부정공>둔은공사실(遯隱公事實)휘개(諱愷)
1. 문헌 목록 〉10. 10世 〉19. <부정공>상춘당공휘륜묘표(賞春堂公諱倫墓表)
1. 문헌 목록 > 10. 10世 >  
18.<부정공>돈은조공휘개묘갈명(遯隱趙公諱愷墓碣銘)
遯隱趙公諱愷墓碣銘 順天住巖面粉箱洞坐艮原即遯隱趙公之藏也三百餘年後丁丑昌寧曺元承狀之其言該覈亦既足於掩公之幽矣而後孫佑燮洪燮寅燮太善等懼尚無刻使淇煥又請余一言懸諸隨道之石余辭不能得乃序之曰公諱愷其先玉川人始祖諱璋麗朝侍中生諱洪珪版圖判書諱佺三韓壁上功臣諱元吉號農隱始封玉川府院君諡忠獻享武夷祠諱瑜號虔谷典農寺副正逮麗社屋守罔僕以終我 英陵朝 命旌表其門曰孝子前副正趙瑜之閭盖忠孝本無二致故也享爼豆于謙川祠即公五世祖也高祖諱崇文號竹村節度使莊光之際與六臣同禍曾祖諱哲山號龜川與其考同日並命時人冤之至戊寅臨行東鶴寺書下丙子冤死諸臣給田結設招魂祭 健陵己未下敎曰貞忠大節與成勝父子一般贈崇文兵曹判書 景陵癸卯贈諡節愍仍 贈哲山童蒙敎官俱被旌褒並享謙川祠配食 莊陵壇及 肅慕殿庭祖諱瓊自號杜門終身不出世路考諱昌門彰信校尉妣恭人金海許氏公生于竹林第賦性敦厚凝重不好嬉戯事親己知扇枕懷橘之誠比長爲學踐履篤實端拱危坐鑽研經傳深得其旨訓子孫以忠孝曰吾家世規無出此二字其各勉之且以人子之道養之誠病之憂喪之哀祭之敬諄諄誡誨其學也不爲隨俗低昂雖片言隻字推原正理以康濟一世爲心而以禍家子孫絶意進取鏟跡邱園扁其臺曰遯隱徜徉於山水之間 宣廟辛未有丙子節臣后裔錄用之 命除禮賓寺參奉一肅即歸事載昇平誌以疾卒于寝庚辰三月四日也距生辛未享年七十齊宜人高山高氏貞順柔嘉歿于癸未二月二十五日一岡雙墳從先兆也育三男二女宗元内禁衛訓鍊奉事龍蛇擧義勤王錄宣武原從勳宗義宗禮女杞溪兪焰宜寧南顯宗元生二男一女男蓂 贈軍資監正莢女晋州姜爀宗義生二男萱葵宗禮生一男敢義蓂生四男允纘 贈工曹參議允瞻 贈軍資監正允甫允福莢生二男允慶允憲葵生二男允城允昌敢義生一男日世餘繁不記嗟呼公生長忠孝之門世襲禮義之風敦實之行守祖先之規修先賢之道以竢夫來世其功於風敎不可以隱顯異視而道未嘗不同異者跡也同者心也其蘊美含光之賢君子哉讀其狀無一溢語醇實之風亦不可誣者也其賢如此而生平遵養林下不得行其志以歿惜哉公之雲仍森森有法家拂士之儀竊意厥家風之傳世德之報歷千禩而未艾也夫銘曰 玉川之門篤生賢士忠孝傳家世濟其美沒齒隱遯銖視金紫保守清風寝寐穎水模楷儒林著龜鄉里名德陰隲孫孫子子 嘉義大夫吏曹參判兼同知經筵義禁府春秋館 成均館事奎章閣直提學 世子 侍講院檢校輔德驪興 閔丙承 謹撰 둔은조공휘개묘갈명(遯隱趙公諱愷墓碣銘) 순천 주암면 분상동(粉箱洞) 좌간원(坐艮原)은 곧 둔은 조공의 유택이다. 三백여년 뒤 정축년에 창녕(昌寧) 조원승(曺元承)이 공의 행적을 기록하니 그 말이 확실하므로 또한 이미 공의 그윽함을 거두게는 되었으나 후손 우섭(佑燮)·홍섭(洪燮)·인섭(寅燮)·태선(太善) 등이 아직 비 돌이 없는 것을 두려워하여 기환(淇煥)으로 하여금 나에게 묘갈명문을 청하매 이에 내가 사절하다가 부득이하여 이에 가로대 공의 휘는 개(愷)요 옥천 화벌로 절민공 휘 숭문(崇文)의 현손이며 창신교위(彰信校尉) 휘 창문(昌門)의 아들인데 비는 공인(恭人) 김해허씨(金海許氏)였다. 공이 죽림 본제에서 출생하여 천성이 관후묵중(寬厚黙重)하여 유희를 좋아하지 않고 어버이를 섬김에 있어 베개머리에 앉아 부채질하고 유자를 품어드린 정성을 알고 장성하매 학문과 조행이 독실하여 단정히 공수하고 꿇어 앉아 경전을 연구하여 깊이 그 뜻을 터득하였고 충효로써 자손을 훈계하되 우리 집 세규(世規)가 이 두 글자에 있으니 각기 힘쓰라 하였다. 또 인자(人子)의 도리로써 봉양에 지성하고 병환에 근심하며 상사에 슬퍼하고 제사에 공경하라고 거듭 일러 가르쳤다. 그의 학문은 세속을 따라 낮았다 높았다 하지 않았으며 비록 짧은 말과 한 글자라도 원리를 추구하고 정이하여 기강을 세우고 풍속을 바르게 함으로써 일생 사업을 삼고 화가자손(禍家子孫)으로 자처하여 진취의 뜻을 끊고 자취를 전원에 숨겨 그 대(臺)를 둔은이라 현판하고 산수간에 우유자적(優遊自適)하였다. 선조(宣祖) 신미년(一五七一)에 병자 절신 후손을 녹을 내려 주라는 은명이 내려 예빈시참봉(禮賓寺參奉)을 제수하니 한 번 숙배하고 곧 돌아왔는데 그 사행이 승평읍지에 기록되었다. 경진년 三월四일에 향년 七十세로 병환으로 정침에서 별세하고 배는 의인(宜人) 고 산고씨(高山高氏)로 정순유가(貞順柔嘉)하였는데 계미년 二월 二十五일에 별세하여 선영을 따라 한 산등성이에 쌍분하였다. 三남二녀를 두었는데 남 종원(宗元)은 내금위 훈련봉사(内禁衛訓鍊奉事)로 임진왜 란에 의병을 일으켜 나라에 충성하였으므로 선무원종훈(宣武原從勳)을 서록하였고 종 의(宗義)·종예(宗禮)요, 딸은 기계유염(杞溪兪焰), 의령남현(宜寧南顯)이며 손자 증군자감정(贈軍資監正) 명(蓂)과 협(莢)여 진주강혁(晋州姜爀)은 장방출이요 훤(萱)·규(葵)는 차방출이며 감의(敢義)는 삼방출이었다. 증손 증공조참의(贈工曹參議) 윤찬(允纘), 증군자감정(贈軍資監正) 윤첨(允瞻) 윤보(允甫) 윤복(允福)은 명(蓂)출이요, 윤경(允慶) 윤헌(允憲)은 협(莢)출이며 윤성(允城) 윤창(允昌)은 규(葵)출이고 일세(日世)는 감의(敢義)출이며 여는 번창하므로 다 기록하지 못한다. 슬프다! 공의 충효와 가문에서 생장하여 대대로 예의의 풍교와 돈실한 행의를 계승하여 선조의 규범을 지키고 선현의 도덕을 닦아 내세(來世)에 끼치니 그 풍교에 유공함이 가히 벼슬하고 하지 않음으로 달리 보지 못할 것이다. 도는 일찍이 같지 아니함이 없다. 다른 것은 자취요 같은 것은 마음이며 그 아름다움을 싸고 빛을 머금고 있으니 어진 군자로다. 그의 행장에 조금도 과장한 말이 없는 것을 보니 순실한 기풍을 속일 수 없겠다. 그 어짐이 이와 같았는데도 평생을 스스로 임천에 묻혀 그 뜻을 실행하지 못하고 세상을 마치니 애석하도다. 공의 후예가 높이 빼어나 법가 현사의 풍의가 있으니 내가 생각하건대 그 가풍의 전 함과 세덕의 보시가 천년을 지내도 다 함이 없을 것이다. 다음과 같이 명한다. 새겨 가로되, 옥천의 가문에 독실한 어진 선비가 났도다. 玉川之門篤生賢士 충효로 전가하니 대대로 그 아름다움을 전하였네. 忠孝傳家世濟其美 늙도록 숨어 살며 영귀를 초개같이 보았네. 沒齒隱遯銖視金紫 맑은 바람을 보수하고 영수에서 자고 깬다. 保守清風寝寐穎水 사림의 해범이요 향방의 귀감이로다. 模楷儒林蓍龜鄉里 이름난 덕이 은연히 올라 자손을 감싸주네. 名德陰隲孫孫子子 奎章閣直提學 世子侍講院 檢校輔德 驪興 閔丙承 지음
 
1. 문헌 목록 〉10. 10世 〉17. <부정공>둔은공사실(遯隱公事實)휘개(諱愷)
1. 문헌 목록 〉10. 10世 〉19. <부정공>상춘당공휘륜묘표(賞春堂公諱倫墓表)